라이포
절제하면 할 수록 망하는 이유 본문
인간이 행동하고 움직이는 이유가 뭘까? 쾌락이나 고통을 피하기 위해 움직일 수도 있지만 진짜 이유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움직인다. 내가 왜 이 짓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당장 필자만 하더라도 어제 짠 계획대로 하지 않고 아침에 계획보다 늦게 일어나거나 운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나는 지금까지 나의 노력이나 의지력이 부족한 줄 알았다. 하지만 종종 보름 넘게 노력이나 의지만으로 계획대로 움직인 적이 있는데 반드시 반동이 찾아왔다. 하지 않기로 했던 아침에 유튜브를 보고 운동하지 않고 밥도 거르고 게임만 하며 며칠 동안 폐인같이 보냈다. 이러고 있으면 그동안 다시 노력이나 의지력이 회복되어 다시 계획으로 돌아갔고 나는 내가 의지가 부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고무줄도 늘이면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힘이 강하듯이 강압적으로 이건 하면 안 돼 라는 식으로 절제하면 1%로의 강철 같은 의지가 있는 사람이 아닌 이상 반드시 반동이 올 것이다.
모든 사람은 아니지만 대부분은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자유롭게 시간을 쓰며 더 이상 돈에 구속되지 않는 삶을 부러워하며 본인과 부자들의 행동을 비교하며 무엇이 부족한지 인지한 후 자기계발서를 읽거나 주위에 본인보다 뛰어난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한다. 하지만 며칠 지나가면 처음에 가졌던 의지나 동기는 온데간데없고 이 행동이 왜 좋은지는 명확히 알지만 행동하지 않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유는 본인의 삶이 움직일 정도로 불편하지 않기 때문이다.
원시인들은 배가 고플때 음식을 찾아 헤매고 죽음의 위험을 무릅쓰며 음식을 구해 집에 있는 아내와 자식들을 먹여 살린다. 하지만 음식을 구하지 못하는 날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빈손으로 아버지가 밖에서 돌아오면 아내와 아이들은 그날은 굶어야 하기에 아버지에게 실망할 것이다. 아버지는 가족들이 자신에게 실망하는 상황이 몹시 불편하여 주섬주섬 다시 장비를 챙겨 물고기라도 잡아오기 위해 나갈 것이다. 초등학교에서는 방학 전에 항상 아이들에게 방항 숙제를 내준다. 방학숙제에는 항상 일기 쓰기가 포함되고 대부분의 아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숙제 중 하나이다. 매일 혹은 주에 3번은 써야 하는데 놀기에도 바쁜 우리 아이들은 규칙적으로 일기를 쓰는 것이 매우 힘들다. 하지만 선생님께 혼나는 상황이 불편하고 일기를 쓴 아이는 자리에 앉아 수업을 듣고 쓰지 않는 아이는 복도로 나가거나 교실 뒤에서 손을 들고 수업을 들을 것이다. 그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 거짓말을 지어내서라도 일기를 쓸 것이다. 가게 주인과 직접 통화하는 것을 간단히 손가락으로 주문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 배달어플을 사용하여 배달료 3000원을 더 내더라도 직접 가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한다.
목표를 쟁취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무너지고 일어서기를 반복하며 자책하기 전에 자신이 왜 본질적인 행동보다 딴짓을 하는 내면의 이유가 뭘까 하며 찾다보면 자연스럽게 딴짓을 하고 싶은 충동이 사라질 것이다. 절제를 하면 할수록 강하게 반동이 올 것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안식을 주는 행위와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계획대로 일을 하다가 딴짓을 하고 싶은 충동이 들면 나를 3인칭으로 바라보며 왜 이런 감정을 느낄까 감정의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10분 정도만 유예기간을 스스로에게 주어보아라 " 10분만 있다가 유튜브를 보자 " 이 감정은 영원하지 않기 때문에 10 분도채 안돼서 보고 싶던 충동이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다.